[아트코칭 S-7-9] 미술 심리와 글씨 분석(필적학)의 공통 원리 및 근거

 [아트코칭 S-7-9]미술 심리와 글씨 분석(필적학)의 공통 원리 및 근거

미술치료와 도형과 필적학 등 '글과 그림의 근원'이 같다라고 하네요. 모두 내면을 다루는 학문이라 깊고 어렵지만 저는 흥미롭고 재미있네요.

HTP/KFD 실제 사례


글씨 분석(필적학)과 미술 심리: 내면을 비추는 두 개의 거울, 심층 비교 분석

글씨 분석(필적학)과 미술 심리는 겉으로 보기에는 다른 분야처럼 보이지만, 인간의 심리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있어서 몇 가지 공통된 원리를 공유합니다. 두 분야는 모두 인간의 무의식적인 심리 상태가 외부로 투영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며, 이를 통해 내면의 감정과 생각을 탐구하고 해석합니다.

공통된 원리 및 근거

  • 무의식의 투영: 투사적 기법
    • 필적학: 글씨체는 단순한 손의 움직임이 아니라, 개인의 성격, 감정, 심리 상태가 무의식적으로 반영됩니다. 글자의 크기, 모양, 기울기, 필 압 등은 내면의 심리적 특징을 드러내는 상징적인 요소로 해석됩니다. (아트코칭 S-7-8 참조, dated 3/27) 
    • 미술치료: 그림, 조형물 등의 미술 작품은 언어적 표현이 어려운 감정, 욕구, 갈등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입니다. 색깔, 형태, 구도 등은 무의식적인 심리 상태를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. (아트코칭 S-2 참조, dated 2/1/2025)
    • 근거: 두 분야 모두 프로이트의 '투사' 이론을 바탕으로, 무의식적인 심리 상태가 외부의 결과물에 투영된다고 봅니다. 무의식이 시각적인 형태로 표출됨. 
    • 공통점: 두 분야 모두 '투사적 기법'을 활용하여 무의식적인 심리 상태를 분석합니다. , 글씨와 그림은 내면의 '필름'을 외부 '스크린'에 투영하는 '영사기'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투사적 기법은 무의식세계를 다룹니다  
  • 상징적 해석: 내면의 언어 해독
    • 필적학: 글자의 획, 기울기, 간격, 필 압 등은 특정한 심리적 의미를 지닙니다. 예를 들어, 강한 필 압은 강한 감정이나 공격성을,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글씨는 외향적인 성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.
    • 미술치료: 그림의 형태, 색깔, 구도, 크기 등은 개인의 심리 상태를 반영하는 상징입니다. 예를 들어, 어두운 색깔은 우울이나 불안을, 큰 나무는 강한 자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.
    • 근거: 두 분야 모두 상징적인 해석을 통해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합니다. , 글씨와 그림은 내면의 '언어'를 해독하는 도구입니다.
    • 공통점: 두 분야 모두 상징적인 해석을 통해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합니다. , 글씨와 그림은 내면의 '언어'를 해독하는 도구입니다.
  • 비언어적 소통: 무의식 세계와의 만남
    • 글씨와 그림은 언어적 표현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소통 수단이 됩니다. 특히 아동, 노인,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글씨나 그림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언어적 한계를 넘어 내담자의 내면세계에 접근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됩니다.  
  • 심리적 탐색과 치료: 치유의 도구
    •  필적학과 미술 심리 모두 내담자의 심리적 상태를 탐색하고 치료적  개입을 위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 글씨나 그림을 분석함으로써 내담자는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, 이는 치료 목표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 또한, 창작 과정 자체도 내담자의 자기인식을 통해 의식적인 감정 조절 등 능력을 향상시키는 치료적 효과를 지닙니다. 요점: 무의식의 투영, 비언어적 소통, 심리적 탐색.                치료적 효과: 필적학-, 글쓰기. 미술치료-HTP/KFD.
  • 과학적 근거: 아직은 논쟁 중
    • 하지만 필적학과 미술 심리의 과학적 근거는 아직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. 두 분야 모두 경험적 연구와 임상적 관찰을 기반으로 발전해 왔지만, 객관적인 검증과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. 따라서 두 분야를 활용할 때는 다른 검사와 보완하여 통합적으로 사용하시는 게 좋습니다.

여러가지 글씨체 샘플 그리고 내 친구 사인


제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. 청소년들이 글씨를 정자로 쓰도록 지도 해 주세요. Written by 아트코치 이정화 




 

 

 

댓글 쓰기